-백악기 추정 최초 확인돼 자연사적 가치 매우 높아- -“연흔도 발견…산정상 원래 호숫가서 발자국 퇴적”

창원대학교(총장 이찬규) 박물관이 마산 무학산 정상과 서원곡 등에서 공룡발자국화 석을 발견해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무학산에서 공룡발자국이 다량 발 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학술‧자연사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창원대 박물관(관장 도진순)은 13일 지난달 14일 마산 무학산(761m) 정상에서 처음 공룡발자국화석을 발견했고, 이후 추가조사를 진행한 결과 무학산 전역에 공룡 발자국화석이 산재해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창원대 박물관에 따르면 이번에 공룡발자국화석이 발견된 무학산의 지질은 경상누 층군 진동층이며, 진동층은 창원시 마산회원구 진동면을 비롯해 고성군 하이면, 함 안, 하동 등 남해안 일대에 넓게 분포한 백악기 육성퇴적암으로 공룡발자국 화석이 다량 산출되고 있다.

현장 확인조사 결과 무학산 정상을 비롯해 등산로에 노두(露頭)된 퇴적암에서 17개 의 공룡발자국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창원대 박물관은 최초 무학산 정상에서 공룡발 자국이 확인된 것을 근거로 서원곡-철탑-개나리동산-무학산 정상-서마지기-무학폭 포에 이르는 등산로변 일대를 조사했다.

무학산 등산로변 연흔 모습.jpg
무학산 등산로변 연흔 모습./창원대 박물관

정상 부근에서 확인되는 퇴적암은 무학산에 전체적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침식과정 에서 많이 부서졌기 때문에 발자국화석들이 보폭을 이루며 일렬로 배치되지는 않고 발자국이 1∼3개씩 부분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공룡발자국 화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퇴적구조인 연흔(漣痕, ripplemark)도 발견됐다. 연흔이란 바람이나 물의 움직임에 의해 퇴적물의 표면에 형성되는 파상 의 흔적으로 물결자국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연흔이 있는 퇴적암이 산중턱에서 발견된다는 것은 원래 그 지역이 호숫가라는 것 을 의미한다. 즉 무학산은 원래 호수였고 공룡이 호숫가를 지나며 발자국을 남겼는 데 그곳에 퇴적물이 쌓인 후 열과 압력으로 인해 단단해졌고, 그 지역이 융기하여 현재 산중턱과 정상에서 모습을 보이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

무학산 정상에서 확인되는 공룡발자국화석은 가로 280㎝, 세로 140㎝의 편평한 암 괴에서 모두 7개가 발견되었으며, 타원형인 것으로 보아 초식공룡인 용각류의 발자 국으로 추정된다. 발자국의 크기는 길이 35~45㎝, 폭 17~30㎝, 깊이 2~3㎝ 정도다.

창원대 박물관은 “발자국이 정형성을 가지고 다량으로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 행이나 보폭을 추정하기는 힘들지만, 산 정상 즉 해발 761m의 고지에서 공룡발자 국이 발견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무학산 정산 공룡발자국 모습.jpg
무학산 정상 공룡발자국 모습./창원대 박물관 제공

정상에서 서원곡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상에서 확인된 공룡발자국화석은 총 6개이 며, 정상부에서 발견된 것과 모양과 크기가 비슷하며 대부분 희미하거나 깨진 상태 로 발견됐다. 서마지기-무학폭포 사이의 쉼터 인근 등산로에서는 연흔이 기록된 암 괴가 확인됐고, 분류상 대칭연흔으로 진폭 약 4㎝, 파고 약 0.3㎝이며 진동층에서 많이 발견되는 규모다.

이처럼 무학산 일대에서 확인된 공룡발자국은 진동층이 분포하고 있는 일대를 따라 넓게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추후에 이 일대에 대한 추가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는 게 창원대 박물관의 설명이다.

창원대학교박물관 김주용 학예연구사는 “무학산 정상 해발 761m 고지에서 공룡발 자국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충분한 연구가치를 시사하고 있다”면서 “향후 정밀조사 가 이루어진다면 공룡발자국화석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당시 공룡의 생태와 지질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 자연사 자료로 평가되 고, 또한 무학산 공룡발자국화석은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현장학습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