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물량부족으로 매각, 1개만 남아
분기별로 10억 씩 혈세 보전…50년간 약 1200억 원 지원 예상

지역 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에도 '2020년 컨테이너 58만 8000TEU 확보'를 자신하며 옛 마산시와 해양수산부가 강행했던 가포신항 건설사업이 '대국민 사기극'이라는 비판을 방증하듯 각종 난맥상이 하나씩 현실화하고 있다.

마산지방해양수산청과 창원시 등에 따르면 가포신항을 운영하는 (주)아이포트는 이달 초 컨테이너 크레인 1기를 포함한 각종 하역장비를 철거했다. 이로써 애초 2개였던 가포신항 컨테이너 크레인은 1개밖에 남지 않게 됐다.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표방했던 가포신항 정체성(?)은 이제 완전히 사라지게 된 것이다.

컨테이너 크레인 철거는 이미 예견돼 있었다.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만들겠다며 마산해양신도시를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어마어마한 준설 작업을 해놓고도 항만 개장 후 컨테이너 물동량이 예상만큼 오르지 않자 지난해 항만 용도를 변경했다. 해양수산부와 아이포트는 가포신항에서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벌크와 잡화 등도 취급하기로 협약을 했고, 운영방식도 변경했다.

당시 마산지방해양수산청과 아이포트는 협약 변경을 통해 최소수입운영보장(MRG)을 폐지하는 대신 제한적 비용보전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최소수입운영보장제로 운영했을 때 50년간 약 1600억 원의 국가 예산이 투입될 것이라는 우려가 시민단체로부터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제한적 비용보전방식을 적용한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분기별로 10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변경된 협약에 따라 아이포트는 30년간 가포신항을 운영하게 되는데 이 기간에 물동량 변화가 없다면 1200억 원대 정부 예산을 지원받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 계획했던 친환경 컨테이너 항만이 아닌 사실상 벌크항을 운영하는 민간 사업자가 1000억 원대 국가 예산을 지원받는 길이 열린 셈이다.

2020년 컨테이너 확보 물량이 58만 8000TEU라고 자신했지만 2016년 현재 컨테이너 물동량은 1만 6000TEU에 그쳤다.

3.jpg
▲ 가포신항 전경./김구연 기자

항만 용도변경이 이루어지면서 기존 마산항에서 처리해왔던 물량 일부가 가포신항에서 처리되면서 전체 물동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민간자본 부두를 위해 기존 국가부두를 죽이는 '꼬시락 제 살 뜯기' 식 항만 정책에 다름 아니라는 게 시민단체의 지적이다.

허정도 창원물생명시민연대 공동대표는 가포신항 컨테이너 크레인 철거와 관련해 "가포신항 사업이 시작될 때 우리는 줄기차게 그 효용성을 문제 삼았다. 지극히 상식적인 비판이었다. 하지만 마산시와 해양수산부는 우리를 매도해가면서 마산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 주장해왔다. 그러나 결국 이런 참담한 결과를 맞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허 공동대표는 "화물 경쟁에서 밀린 가포신항은 기존 마산항 1부두와 2부두가 담당했던 모래나 시멘트를 취급하는 벌크항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으며, 국비와 시비라는 혈세로 민자사업을 부양하는 꼴"이라고 덧붙였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사기극에 불과한 가포신항만 건설이 되풀이하지 않도록 해양수산부는 지금이라도 가포신항 건설과 관련한 공직자를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