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상의 조사 결과 디지털 기술 도입 의지 격차 30%
R&D 투자 격차도 커…"생산협력시스템 불균형 초래"

창원상공회의소가 지역 업체 대상 '창원지역 제조업체의 4차 산업혁명 준비실태 조사'를 한 결과 기업 규모별로 디지털 기술 도입 의지, 도입 시급성 관련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도입 의지가 강했고 시급성에 대한 인식도 더했다.

4차 산업혁명 적용이 중소기업에 더 절실하다는 정부·자치단체 강조에도 생산현장에서는 관련 준비 정도에서 오히려 대-중소기업 간 격차가 더 벌어진다는 방증이어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이번 조사에는 대기업 14개사(9.5%), 중견기업 27개사(18.5%), 중소기업 105개사(71.9%) 등 146개사가 참여했다.

◇CEO 도입 적극성, 대기업 90%·중소기업 60% = 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30%가 생산공정을 디지털화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자 디지털 기술을 제조현장에 적용하지만 70%는 생산에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디지털기술 도입 관련 CEO 의지는 대기업 CEO 90%가 '적극적'이었지만 중소기업 CEO는 60%만 '적극적'이라고 답해 기업규모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디지털기술 도입에 따른 제조혁신 추진 시급성을 묻자 중견기업은 59.1%, 대기업은 57.1%, 중소기업은 41% 차례대로 시급하다고 답해 기업규모별 인식 차가 컸다.

제조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에 투자하는지를 묻자 대기업 78.6%, 중소기업 46.2%, 중견기업 44.4% 차례대로 답해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간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관련 R&D 투자 격차도 큰 것으로 풀이된다.

◇ICT 결합 중요성에는 대-중소기업 모두 '중요'= 회사 미래를 위해 기존 기계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하는 제조혁신은 대기업 85.7%, 중소기업 81.9%로 기업규모에 관계없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런 제조혁신 추진 때 응답업체들(복수 응답)은 '투자비용(104개사)', '제조혁신 실행 표준 부족(56개사)', 'ICT 시스템 복잡성(40개사)', '역량 부족(36개사)' 등의 차례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제조혁신 추진을 위한 직원 역량을 두고 대기업의 56.1%는 충분하다고 했지만 중소기업은 30.8%만 충분하다고 답했다.

직원 역량을 강화하고자 제조혁신 관련 사내 교육을 27.4%만 제공하고 72.6%는 제공하지 않는다고 했다. 제조혁신 교육 프로그램 수요는 '제조혁신 프로세스'(81개사), '자동화'(58개사), 'IT 보안분야'(9개사) 등이었다.

응답업체의 디지털기술 도입 관련 관심은 '스마트 팩토리'(46.4%), '스마트 물류'(34.5%), '데이터 보안'(34.5%), '로봇'(26.2%) 등은 높았지만 '빅데이터'(21.4%), '스마트 센서'(16.7%), '클라우드 컴퓨팅'(13.1%), '3D 프린팅'(9.5%), '사물 인터넷'(4.8%), '인공지능'(1.2%) 분야에는 상대적으로 덜했다.

제조혁신 추진을 위한 디지털 기술이 필요한 업무 분야를 묻자 '내부 물류 원자재 구입, 검수, 보관, 현장 출하'(76개사), '제조 생산, 가공, 조립'(66개사), '기술개발 제품과 생산설비 설계, 연구개발'(53개사) 차례로 꼽았다. 생산을 통한 직접 가치를 창출하는 업무 분야를 많이 선택했다.

◇비용 절감·생산유연성 증대, 기대효과 1·2위 = 제조혁신 추진으로 기대되는 성과로는 '비용절감'(95개사), '생산유연성 증대'(81개사), '고객 만족'(45개사), '납기 준수'(35개사), '신시장 개척'(26개사) 차례대로 답했다.

조사 결과를 두고 창원상의 관계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인더스트리(Industry) 4.0 추진 격차가 컸다. 대기업은 글로벌시장을 선점하고자 제조혁신을 적극 추진 중이지만 대기업에 부품 등을 공급하는 협력사인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제조혁신 속도를 못 따라가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이런 상황은 결국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협력시스템 불균형을 낳아 전체 제조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소기업이 제조혁신 Industry 4.0을 적극 추진하도록 지원해 제조 네트워크 내 제조혁신 균형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