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며칠 전 낙동강 강정고령 구간에 조류경보를 발령했다. 4대 강 사업 이후 6년 연속 남조류가 창궐한 셈이다. 환경단체는 이번 녹조는 지난 1일 4대 강 보 수문을 열어 양수제약수위까지 낮춘 후 수위 저하가 끝나자마자 나타난 현상이라고 밝혔다. 이어 낙동강 유속과 녹조의 상관관계를 그대로 증명해주는 것이라며 수문을 더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환경부는 올해 전국적으로 강수량이 적고 기온이 높아 녹조현상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기상조건·수문변화·수질 등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중이어서 보 개방에 따른 효과는 분석이 완료돼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녹조현상은 상식적으로 수온과 인·질소 등 영양염류, 강물 정체 이 세 가지 조건이 맞아떨어졌을 때 창궐하게 돼 있다. 실제로 4대 강 사업 후에 녹조가 창궐한 것을 두고 많은 수질전문가가 강물 정체 탓이라고 지적했다. 그래서 시민사회와 문재인 정부도 이에 초점을 맞춰 보 개방을 임시 결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결정에도 여러가지 문제가 드러났다. 정부는 1단계 보 개방 시 수위를 많이 내리지 못하는 것은 양수장 취수구 위치 때문이라고 밝혔다. 4대 강 사업 초기부터 보 하상 세굴, 바닥층 침하로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했고, 이번에 수문 개방을 하면서 양수시설에도 문제가 나타난 것이다. 관리수위가 5m인 함안보는 이번에 양수제약수위인 4.8m로 수문을 낮췄는데, 더 내리면 양수장 취수에 문제가 생긴다는 점이다.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4대 강 사업 전에는 취수구가 강바닥까지 내려가 있었는데 보가 생기면 수위가 유지되기 때문에 취수구를 높였다고 한다. 그렇다면 정부는 양수시설 조정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이나 예비비를 편성해야 한다. 또한 애초에 취수구 설계나 시공을 잘못한 것에 대한 책임 소재도 밝혀야 한다.

한편으로 수질오염원 유입 차단을 위해 보 상류지역 환경기초시설과 배출시설 특별점검, 취수구와 조류가 심한 지역에 조류 방지막 설치도 시급하다. 조만간 나머지 10개 보의 수문 개방을 동시에 할 때, 수질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덧붙여 이런 논의에 민관 협력으로 일을 풀어가는 것도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