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창원시가 출발하면서 품었던 도시성장의 신화가 부정되고 있다. 지역 확대가 가져오는 인구증가는 이후 주변지역 인구까지 흡수하면서 도시의 2차적인 팽창과 확장으로 이어진다는 게 도시성장론 골간이다. 하지만 더는 이런 식의 주장을 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이 창원시의 인구통계로 확인된다.

먼저 도시라는 공간이 확대되면 부동산 가격 역시 단선적으로 올라가면서 도시의 특정 공간 역시 또다시 확장된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도시성장이 부동산가격 상승이라는 결과로 이어지면서 도대체 누구를 위한 성장이고 발전이냐는 물음도 이어졌다. 이런 도시성장은 국가 전체적으로 성장이 왕성하던 시기에 가능했을 뿐이고 저성장시기에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통합 창원시 사례에서 확인된다. 예를 들어 2010년 7월 통합 창원시가 출발할 당시 인구는 108만 명이었다. 하지만 2017년 현재 인구는 105만 명이다. 도시 확장이 인구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인구정체 혹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창원이라는 지역에서 부동산 비용이 소득에 비해 지나치게 높아서 일자리 제공이라는 긍정적인 유인 효과보다 거주비용이라는 부정적인 유출 효과가 더욱 크게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도시라는 공간이 사람을 끌어들이기보다 내쫓는 경우가 많아질 때 특정 지역은 이미 권력화한다. 즉, 특정 지역의 부동산 가격에는 이미 거품이 자리를 잡게 된다. 그리고 이 거품이 비대해질 경우 소박한 노동을 통한 소득이 아니라 땀 한 방울 흘리지 않는 불로소득이 주를 이루면서 사회는 비정상의 상태에 빠지게 된다. 흔히 말하는 소비시장의 양극화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부가 부동산 소유계층에게만 편중되는 비정상적 상황이 연출된다. 물론 지자체 입장에서는 부동산 관련 각종 세수의 증가로 말미암아 도시라는 공간의 관리가 더욱 쉬워진다고 주장할 수는 있지만, 도시는 별로 가진 게 없는 청년층을 늘리지 못하고 고령화로 이어진다. 다시 말해 도시의 미래가 불투명해지면서 지역이 가진 장점이나 이점은 시간이 가면서 사라지고 지역은 쇠퇴하는 길로 들어선다. 바로 이런 악순환적 발전의 초입에 통합 창원시가 서 있지는 않은지 이젠 따져보아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