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여름휴가 일정 두고 정치권 설왕설래

문재인 대통령 여름휴가 일정이 논란이다. 북한 미사일 발사 등 불안한 시국에 휴식을 취하는 게 과연 적절한지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부터 6박 7일 일정으로 강원도 평창을 거쳐 창원시 진해구 모 휴양시설에서 휴가를 보내는 중이다.

이종철 바른정당 대변인은 이에 논평을 내 "문 대통령이 휴가를 떠났다는 소식에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며 "북 미사일 발사는 한국은 물론 미국, 중국 등 국제사회에 매우 큰 파장을 낳고 있다. 지금 한반도는 역대 최대의 심각한 국면인데 이런 상황에서 북 도발에 대응한 지 단 하루 만에 휴가를 가는 게 얼마나 자연스럽게 다가올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전진영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도 31일 비대위 회의에서 "한반도 주변 강대국이 연일 긴장 수위를 높여가며 숨 가쁘게 움직이고 있는데 정작 위기 당사자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여름 휴가를 떠났다"며 "책임과 무능도 정도가 있다. 국민은 일촉즉발 위기 앞에 연차휴가를 쓰는 대통령보다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국민을 안심시키는 대통령을 소망한다"고 밝혔다.

언론도 가세했다. 〈조선일보〉는 31일 자 '만물상'을 통해 "'안이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자 청와대는 '대통령이 휴가 취소하면 국민이 더 불안해할 것'이라고 했다. 맞는 면도 있다. 대통령이 휴가지에 있어도 문제없이 굴러가는 나라가 선진국"이라고 평하면서도 "그런데 정부가 진짜 대비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고 이러는 건지, 그냥 선진국 대통령 흉내나 내는 것은 아닌지 솔직히 걱정"이라고 비꼬았다.

같은 날 MBC 보도 역시 노골적이진 않았지만 우려를 증폭하기에 충분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북극성 2형 미사일을 발사한 바로 다음 날이었던 지난 5월 22일에도 연차 휴가를 냈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가 있었던 지난 2014년과 2015년 별도의 휴가 대신 관저에 머물렀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한국인 피랍사태가 있었던 2007년 휴가를 취소한 바 있다"고 전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이러한 지적에 일부 수긍하면서도 새로운 휴가 문화 정립을 위해 불가피했으며, 무엇보다 안보 대응 체제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휴가 가는 대통령의 발걸음이 무거울 것 같다"며 "문 대통령이 휴가를 취소하면 휴가 중인 참모진이 전부 출근해야 하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는 또 "대통령이 머무는 곳은 진해 군부대에 있는 휴양시설"이라며 "휴가지를 이곳으로 잡은 이유는 북 미사일 발사 등 긴급한 상황에서도 관련 내용을 신속히 보고받고 화상회의 등을 통해 군통수권자로서 지휘권을 행사하는 데 최적의 장소라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의당은 문 대통령의 휴가를 적극 옹호하는 논평까지 냈다. 추혜선 대변인은 31일 "엄중한 상황이긴 하지만 휴가지에서도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고 하니 최대한 '망중한'을 즐겨주시기 바란다"며 "전 정권의 헌정파괴와 국정농단으로 갑작스레 이뤄진 대선 이후 문 대통령은 80일이 넘는 기간 쉴 틈 없이 달려왔다. 대한민국은 과중한 노동시간으로 병들어 있는 사회다. 이에 대한 처방은 오로지 노동시간 단축과 충분한 휴식 보장뿐"이라고 밝혔다.

대통령 휴가 논란과 관련해 가장 궁금증을 자아낸 것은 자유한국당의 '침묵'이었다. 거의 모든 사안에서 현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온 한국당이 어쩐 일인지 논평 한 줄 없었기 때문이다.

짐작 가는 게 있다면 홍준표 대표의 휴가 일정이다. 홍 대표 역시 문 대통령과 거의 같은 일정으로, 7월 31일부터 8월 4일까지 고향인 경남 창녕에서 휴가를 보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