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검출 계란' 파동 이후 정부가 전체 농가의 전수 검사에 따른 후속조처를 발표하면서 이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가는 듯한 양상이지만, 아직 마음을 놓을 단계는 아니다. 검사가 완료됐으면 후속 조처가 당연히 필요하지만 정부의 태도는 꼼꼼하지 못하다는 인상을 준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8일 9시 기준으로 계란에서 부적합한 살충제가 검출된 농가는 전국 49 곳이라고 발표했다. 이중 경남도는 진주, 합천, 창녕 등 3곳이 포함되었다. 검출 농약 중 발암가능물질 C그룹인 비펜트린이 압도적이며 유럽에서 검출된 피프로닐도 일부 나왔다. 이 두 가지 살충제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문제가 된 농장들 대부분이 두 가지만 썼다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정부는 지자체의 일반농장 일제 전수 검사에서 식약처 규정 살충제 27종 중 일부 항목이 누락된 것을 인정한 바 있다. 정부가 보완조사를 약속했지만, 가장 기초적인 검사 결과의 신뢰에 흠집이 일어나는 것은 막아야 한다. 잠깐이나마 대형마트 매장에서 계란이 몽땅 사라지고 계란 출하가 전국적으로 중단되었던 이번 파동은 대형 식품 안전사고로 기억될 것이다. 그러나 이전과 다른 점은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더욱 높아졌다는 것이다. 문제가 된 49개 농장 중 31곳은 친환경 인증을 받은 곳이다. 친환경 축산물로 알려진 것이 실상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은 누누이 있었지만 실제 결과는 예상보다 심각한 것이다. 안전성에서 친환경 인증 계란이 일반 계란보다 오히려 더 못할 수 있다는 것이 드러남에 따라 소비자들이 친환경 농산물을 불신하게 되면 유기축산물을 생산하는 농가들이 피해를 볼 수도 있다. 환경친화적인 생육과 거리가 먼 환경에서 닭을 키우고도 친환경 인증을 받아 높은 수익을 올려온 농가들도 문제지만, 제도 자치가 이를 부추긴 점이 없지 않다. 이번 기회에 정부는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 기준을 강화하여 동물복지가 고려되지 않은 환경에서 나온 축산물은 친환경 인증에서 배제해야 한다. 닭뿐 아니라 소와 돼지도 친환경 인증 기준은 부실하게 적용될 여지가 있는 만큼 함께 손질을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소비자들의 식품안전 불신은 공고화될 수도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