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마산 가포신항과 마산해양신도시를 둘러보고 가포신항의 새로운 발전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인근에 컨테이너 전용항만인 부산 신항이 있는데 가포신항을 컨테이너 전용 부두로 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지적한 것이다. 이 말은 애초 가포신항과 해양신도시는 태어나지 말아야 할 것을 과거 해수부와 마산시가 결탁하여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무리하게 진행하여 마산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말의 방증이기도 하다.

초기 국책기관에서 신항만 사업 타당성에 문제점 지적에도 무슨 까닭인지 갑자기 타당성 검토가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이후 신항만이 건설되고, 신항만 건설 과정에서 처음 제시했던 장밋빛 청사진은 전부 결과와 맞지 않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그럼에도 김 장관은 안상수 시장의 해양신도시 중앙정부 재정 투입 요청에는 근거가 부족하여 어려운 점이 있다고 답했다. 그 말에는 모순이 있다. 사실상 과거 중앙정부가 밀어붙인 신항만 건설로 생긴 준설토를 매립해 해양신도시를 만든다는 계획에 애초 시민사회의 반대에도 마산시장이 부화뇌동하여 오늘의 해양신도시 꼴을 만든 것은 공동책임이다. 현실적으로 신항이 건설되고, 해양신도시가 매립된 마당에 부분적이나마 바로잡으려면 마산만의 환경·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마산해양신도시 국비 3000억 원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다만 김 장관은 안 시장에게 현재 창원시 책임하에 진행하는 것이라 중앙정부로서는 재정 투입 근거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현재 그 전제 조건이 무너진 경우이기에 다시 잘 따져보고 창원시와 충분히 협의해 시민에게 도움 되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한 것에 창원시가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지금 당면한 것은 첫 단추를 잘못 끼운해양신도시 사업에 대해서만은 정부와 집중적으로 협의하여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당시 관피아와 성과주의 협약으로 해수부는 손 안 대고 코 푼 격이다. 이점을 다시 명백하게 드러내어 마산만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