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 창원 13곳 뿐…밀양·거창·함양·산청 '0'
도 "내진 건축물 없는 탓"

지진 피해로 대피 기간이 길어질 때 임시주거시설 기능을 하는 경남지역 '지진 실내구호소'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단 한 곳도 없는 자치단체가 여러 군데여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에 확인한 결과, 지진 피해 장기화로 주거지가 파손된 이재민 집단구호를 위한 도내 '지진 실내구호소'는 모두 188곳이다. 이들 시설은 모두 내진설계를 마련한 시설물이다. 학교가 150곳으로 가장 많았고, 관공서가 13곳, 복지회관이나 체육관 등 기타시설이 24곳, 시설구분이 되지 않은 양산시 국민체육센터 체육관 등이다.

문제는 지진 실내구호소 지역별 편차가 크다는 점이다. 양산시에 29곳이 지정돼 가장 많았다. 시 단위에는 진주시(27곳), 김해시(16곳), 사천시(16곳), 창원시(13곳), 거제시(9곳), 통영시(4곳) 순으로 지정돼 있다. 군 단위를 보면 합천군(25곳), 창녕군(17곳), 고성군(11곳), 함안군(10곳), 남해군(7곳), 하동군(3곳), 의령군(1곳) 순이다.

05.jpg
지진 옥외대피소와 실내구호소로 지정된 창원시 성산구 반지동 유목초등학교 대피소 안내 표지판./박일호 기자

그러나 인구 100만 명이 넘는 창원시에 실내 구호소 13곳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다. 더구나 의창구(4곳)·성산구(2곳)·마산회원구(3곳)·진해구(4곳)와 달리 마산합포구에는 한 곳도 없다.

특히 실내구호소가 단 한 곳도 없는 곳도 있다. 도심이 있는 밀양시를 비롯해 산청·함양·거창군 등 4개 지역에 지정된 실내구호소가 없다. 이는 지진 피해에 따른 이재민이 발생하더라도 이들 지역에는 제대로 된 피난시설이 없다는 것이다.

또 도내 지진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는 행정안전부 누리집에는 창원종합운동장이 '마을회관', 소계체육공원이 '경로당'으로 잘못 표기되는 등 일부 지진대피소 구분이 제각각으로 돼 있기도 했다. 더불어 시민 대부분이 '지진 대피소'의 자세한 위치를 잘 모르고 있어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 안내와 대피소 홍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재난대책을 수립하는 경남도 재난안전과 관계자는 "해마다 옥외대피소는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경주 지진 당시 조사 결과를 보면 500개가 넘었던 것으로 미뤄볼 때 대피소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또 대피소를 담당하는 서민복지노인정책과 관계자는 "경남지역 지진대피소 확대 지정을 위해 시·군 관련 부서와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일부 실내구호소가 없는 지역은 내진설계가 된 건축물이 없어 지정이 안 된 것이다. 지진이 발생해 이재민이 생기면 옥외대피소에 텐트를 치거나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지역에라도 임시 실내구호소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남지역 지진 옥외대피소는 모두 646곳이다. 주로 구조물 낙하로부터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인 학교 운동장과 공원 등이 대피소로 지정돼 있다. 지역별로 창원시 112곳, 양산시 99곳, 진주시 53곳, 고성군 43곳, 밀양시 41곳 등 도시에 많다.

경남지역 지진 대피소와 구호소는 행정안전부 누리집(mois.go.kr)과 국민재난안전포털 누리집(safekorea.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종완 기자 pjw86@idomin.com

지진 옥외대피소와 실내구호소로 지정된 창원시 성산구 반지동 유목초등학교 대피소 안내 표지판. /박일호 기자 iris15@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