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는 점점 줄어들고 학생 수도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여기에 교육부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시·도교육청 폐교 재산현황을 살펴보면 더욱 심각하다.

지난 3월 28일 현재, 전국에 폐교된 학교가 3683개, 매각 2330개, 대부 또는 자체활용이 945개, 미활용 408개 등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경남은 폐교 558개, 매각 315개, 대부 또는 자체활용 170개, 미활용 73개로 경북에 이어 전국 2위다.

창원을 중심으로 보면 과거 도심 속에서 한 학년 10개 반 400명, 전교생 2000명을 훌쩍 넘기며 2부제 또는 3부제 수업까지 진행하던 학교는 이제 교육청 역사관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과거의 그러했던 학교가 지금은 한 학년에 한두 학급으로 전락하여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신입생 모집으로 골머리를 앓는다.

그렇다고 당장 폐교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 학교를 찾는 지역 주민들, 학생들, 출신 동창들, 교내 구성원들까지 적지 않은 인원과 자산이 함께하고 있으며 그들의 반발도 심각하다. 도시공동화 현상도 한몫을 하고 있다. 신도시 주변으로 형성되는 대단지 아파트와 상권을 중심으로 인구이동이 가속화되다 보니 자연스레 학교에 대한 수요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경험적인 이야기지만 초등학교 하나 신설하려면 최소한 국민세금 200억 원이 든다고 한다.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에서도 이 같은 내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지역의 국회의원을 비롯한 다양한 경로를 통한 민원이 급증하니 우선순위를 정해 억지 춘향식으로 신설허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마산의 어느 중학교는 합의를 통하여 통폐합에 찬성하여 추진되다가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있으며 진주의 어느 학교는 동창회의 찬성에 차후 입학할 학부모의 반대로 갈등을 빚고 있다고 한다. 또한, 몇 년 전부터 폐교를 고민하는 도심 속의 적지 않은 학교들이 학부모, 동창회 등의 반대로 해결의 실마리조차 풀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교명도 중요하고 출신학교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은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데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자신의 역량과 역할이 중요시되고 그것을 통하여 우리 사회에 기여하고 인정을 받으면 된다. 그것이 바탕이 되어 선진 대한민국의 일원으로 성공한 인격체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학생 수 2000명이던 학교가 100명도 안 되는 소규모 학교로 전락한 곳이 우리 주변에 너무나도 많이 있다.

박남용.jpg

그것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이제야말로 학교의 이전과 재배치, 그리고 통폐합을 통하여 좀 더 현대화되고 미래지향적인 학교를 만들면 어떨까 제안한다. 상호 합의를 통하여 2개 학교 운영할 예산으로 1개 학교를 운영하면 더 멋진 강당과 수영장에 진로체험실과 근사한 도서관, 음악실, 미술실, 교사연구실, 자료실, 인쇄(컬러)실 등등을 충분히 갖출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