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보와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는 4대강 사업이 강행되면서 끊임없이 제기됐던 불가론 중의 하나다. 보에 물을 가두면 주변 지대의 지하수위 변동으로 농지가 저습지화하는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제 그런 예가 얼마나 일어났는지는 알지 못한다. 부분적으로 토양의 성분이 달라져 작물 재배에 더 많은 노력이 따랐을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그런데 새 정부 들어 낙동강의 재자연화를 위해 수문을 개방하고 보의 수위를 낮춘 결과 인근 농지의 지하수위가 덩달아 낮아져 농사에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라며 농민들이 집단민원을 내 마찰이 일고 있다. 합천창녕보 근처인 합천군 청덕면 앙진리 광암들이 그런 곳이다. 50여 호 농민들이 600여 동에 달하는 비닐하우스에서 양상추 등 고등 채소를 재배하고 있는바 냉해 피해가 10억 원을 넘었다는 것이다.

광암들 단지는 수막재배로 겨울철 농작물을 길러낸다. 자세한 농법까지는 알 수 없지만 다른 영농보다 물을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지하수위가 내려가니 필요한 만큼의 수량을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아 실농위기에 직면해있다는 것이다. 군에 하소연해도 뾰족한 대답을 듣지 못해 농민들은 세종시 정부청사까지 찾아가 대책을 요구했으나 그 역시 분노만 키웠다. 보다못해 군의회가 나서 대정부 성명을 발표하며 압박했지만 정부나 관계기관들은 수문만 도로 닫아거는 임시방편에만 의존한 채 묵묵부답이다. 이 때문에 원상회복 기대와 함께 어렵사리 단행됐던 수문개방이 없었던 일로 되돌아가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 이러다 우기가 닥치고 녹조가 창궐하기라도 한다면 또 무슨 말로 둘러댈까.

4대강 보는 헐어 예전의 모습을 되찾아주어야 한다. 이는 환경재앙을 예방할 수 있는 거역할 수 없는 명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복원과정에서 빚어지는 반자연적 거부반응과 그 때문에 초래되는 농작물 피해는 보상이 뒤따라야 하고 적응이 되는 일정기간 동안 그런 후속작업은 계속돼야 마땅한 것이다. 한번 뒤틀어진 산하가 다시 제 모습을 찾는 일이 어디 쉬운 일인가. 정부가 대통령 공약을 성실하게 수행할 각오라면 예상되는 부작용을 면밀히 살펴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