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같이 복잡한 사회에서는 언제 어디서 크고 작은 사고가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인재는 예측이 가능해 예방에 노력과 정성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근래에 일어난 대형사고는 예방할 수 없는 천재지변이 아니라 구태의연한 제도와 운용하는 사람들의 무능과 무성의로 저질러진 인재에 속한다.

지난 연말 인천 영흥도의 낚싯배 전복 사건, 충북 제천의 사우나 화재, 순식간에 4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밀양세종병원의 화재 사건 등은 어느날 갑자기 돌발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다. 세상의 모든 일이 원인 없이 결과만 빚어지는 경우는 없다.

우리 사회는 한때 비정상이 잘 통했다고 한다. 합리보다는 무리가 앞서고, 법보다 '빽'이 잘 통한 시대도 있었다. 공식보다는 비공식으로 해결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컴퓨터에 입력시킬 수 없는 변수 때문에 국가의 통계도 부정확했을 뿐 아니라, 최신 4차원의 경영 기법도 맥을 출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사회에서는 임기응변이 활개를 치게 된다. 결과만 중요시하고 과정은 무시해 버리기 때문에 기회주의자가 판을 치게 된다. 이런 무질서는 경쟁적 의미에서 도움이 될지 모르나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는 도움이 안 된다.

질서란 '모든 사물이 있어야 할 곳에 제자리에 있는 것'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손님이 되어 남의 집을 방문했을 때 '현관에 신발이 가지런히 정리되어 있다든가, 거실에 물건들이 제자리에 놓여 있는가'에 따라 그 집안의 가풍이나 질서를 가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 인간 사회의 질서도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즉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고 차근차근히 꾸준하게 이어감을 뜻한다. 자연의 재앙인 천재는 불가항력이지만 인재는 질서와 안정이 정착되면 얼마든지 예측과 예방이 가능하다.

맑은 창밖을 내다보듯이 앞이 환하게 보이는 것이 안정되고 질서 있는 사회인 것이다. 여느 해도 그러했듯이 올해도 그렇게 맑지는 않을 것 같다. 북한의 고위급 대표자들이 내려와 남북 화해의 분위기를 조성했다고 우선 들뜬 마음이지만, 올림픽이 끝나면 여러 가지 부정확한 낭설에 우울하고 어려운 난관도 많을 것 같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좌절하고 불평불만만 늘어놓아서는 안 될 것이다.

허만복.jpg

사회적인 불안과 인재는 안정과 질서가 없는 곳에서 자란다. 즉 질서가 있으면 인재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흔들리는 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안할 때에는 행동보다는 사고하는 것이 안전하고 진정한 효과를 보게 된다. 혼자가 아니고 여럿이 공동 사고를 거쳐야 인재를 줄일 수 있고 질서 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