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0주년 대비 주제로 마련된 워크숍
정부·지자체 지원 넘어 시민후원 모델로

"경남도민일보는 시민단체에 필요하다. 다리를 놓아주지 않으면 활동내용이 소개되지 않는다. 신문사도 이 역할을 잊지 말아야 한다. '공적 언론기구'로서 역할을 잊지 말라는 것이다. 일부 주주들의 회사, 지금 일하는 사람들의 회사라는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경남도민일보 20년 위원회'를 만들었으면 한다. 경남도민일보의 장기 플랜을 마련하는 기구다. 그 주체는 경남도민일보 내부보다 독자모임이나 외부 인사가 좋겠다. 신문사 사람들 밥그릇 대책을 넘어 지역사회에 필요한 공적 언론기구의 20년 이후를 준비하는 기구다."

'경남도민일보 20년'이라는 제목의 워크숍에서 나온 이야기다. 내년 5월 11일로 경남도민일보가 창간 20주년을 맞는다. 이를 계기로 지난 3일 지면평가위원들이 한 달에 한 번 하는 지면평가회의를 겸해 '창간 20년 이후를 대비해 경남도민일보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아주 작은 워크숍을 했다.

변기수(마창진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 위원장과 성춘석(민족미술인협회 경남지회장) 위원, 서혜정(경남여성장애인연대 대표) 위원, 송정훈(송정훈스튜디오 대표) 위원, 이형준(두산엔진 홍보과장) 위원, 이건혁(창원대 신방과 교수) 독자권익위원 등이 지면평가회의에 이어진 워크숍 자리까지 남았다. 이어진 이야기다.

"지역신문이 살아남을 수 있는 토양이 척박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몇 가지 있다. 신문을 보는 일, 광고를 하는 일, 주식을 사는 일이다. 지역신문이 살지 않으면 지역사회 '공적 언론기구'로서 역할을 할 수 없다. 오직 살아남기 위해 기사의 공공성을 버리고 상업성 일변도로 가는 곳이 더 많다. 그런 신문에 시민단체 소식이나, 사회적 약자 기사를 기대할 수는 없다."

"언론 공공성을 잃지 않는 매체의 수익모델은 보통 '독자모델'에서 '공익모델'로, 그 다음 '후원모델'로 가야 한다. 상대적으로 자본력과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역신문은 더 그렇다. 더 이상 독자 확대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콘텐츠의 공공성'을 무기로 종사자가 당당히 나서고, 이를 지지하는 후원자들이 후원을 해야 한다. 〈뉴스타파〉가 그 예다. 후원자들은 일반 독자와 다른 대접을 기대하지 않는다. 경남도민일보에 지금 필요한 모델이다. 독자모델이 신문사 자체 수익구조라면 공익모델은 지역신문발전위를 통한 정부 지원과 지자체 지원모델이다. 이제는 그 수준을 넘어 주주와 독자, 시민이 참여하는 후원모델로 가야 한다."

이일균.jpg

"신문사 장기플랜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한다. 경남도민일보도 어려움을 겪었을 때가 몇 차례 있지 않았나? 언제든 그런 일은 반복된다. 언제까지 '지금은 신문사 사정이 괜찮으냐?'는 안부 인사를 만날 때마다 듣고 살 건가?"

"후원모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누가 누구에게 손을 벌린다, 도움을 받는다 식으로 이해하면 곤란하다. '공적기구'로서 역할을 이해하고 당당하게 수행하는 차원이 돼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