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 믿음과 신뢰서 시작
지방선거 민심은 한국당 믿지 않아

누아르 영화에서 보스는 부하에게 "아무도 믿지 말라"고 충고한다. 누군가를 믿는다는 것은 배신으로 인한 손실을 감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하를 믿음으로써 위기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보스는 믿었던 부하의 배신으로 목숨을 잃는다.

살면서 우리는 누구를 믿고 누구를 믿지 말아야 할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을 종종 맞는다. 우리는 경험을 통해 이미 알고 있다. 지나치게 친절한 것은 일단 의심하고 볼 일이다. 실험경제학자들은 신뢰가 하나의 계산이라고 주장한다. 과거 누군가가 나에게 보였던 태도를 바탕으로 현 상황에서 그 사람을 얼마나 믿을 수 있을지 확률을 계산하기 때문이다.

1995년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조이스 버그 교수는 인간의 협력적 성향을 알아볼 수 있는 신뢰게임을 고안했다.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두 사람의 참가자를 각각의 방에 넣었다. 두 사람은 같은 액수의 돈을 가지고 있다. 먼저 1번 참가자는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돈을 옆방의 2번 참가자에게 줄 수 있다. 그러면 2번 참가자는 1번 참가자가 보낸 돈의 3배에 이르는 금액을 자동으로 받게 된다. 2번 참가자는 자신이 받은 돈 중 얼마를 다시 1번 참가자에게 보낼지 결정할 수 있다.

두 사람은 전혀 모르는 관계이므로, 1번 참가자가 옆방의 2번 참가자를 신뢰하지 않았다면 돈 일부를 줄 리 없다. 만약 2번 참가자가 돈을 모두 가지면 1번 참가자의 신뢰를 배반한 것이 된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을 신뢰하면 우리의 뇌는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2007년 미국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신경질환뇌졸중연구소의 프랭크 크루거는 신뢰게임을 하는 두 사람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로 촬영했다. 서로 신뢰하는 참가자들의 뇌에서는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를 상상하도록 도와주는 부대상피질이 활성화되었다. 우리 뇌는 상대가 어떤 행동을 보일지 예측하기 위해 그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짐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대가 공정하게 게임을 할 확률이나 배신할 확률을 가늠하기 위해 과거에 있었던 일을 생각한다. 그러나 일단 신뢰가 쌓이면, 뇌는 그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더 이상 무엇을 할지 결정하기 위해 신중한 계산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단지 믿으면 되는 것이다. 자신이 믿는 사람에 대해 좋은 감정도 생긴다. 그리고 신뢰의 감정으로 인해 유대감도 느끼게 된다.

지난 12일 역사적 첫 북미 정상회담이 싱가포르에서 열렸다. 그리고 다음날 6·13 지방선거가 있었다. 두 사안 모두 믿음과 신뢰에 관한 것이었다. 북미 회담 개최과정이 순탄치 않았던 만큼, 많은 국민이 마음 졸이며 정상회담을 지켜보았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지만, 70년간 지속된 북한과 미국의 적대적 관계를 생각하면 두 정상의 새로운 북미관계 합의는 놀랍다. 결국, 서로에게 얼마나 지속적으로 신뢰를 줄 수 있느냐가 남은 과제일 것이다.

서쌍희.jpg

"한 번만 다시 믿어주세요." 이 말은 이른바 PK로 불리는 이 지역 자유한국당 후보들이 6·13 지방선거 기간 사용한 단골 멘트다. 여태까지 이 지역은 압도적인 믿음과 신뢰를 자유한국당에 보냈다. 6·13 지방선거 결과는 이제 그렇지 않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우리의 뇌는 믿음이 생기고 나면 잘 바뀌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렇지만,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여 끊임없이 믿음을 수정하기도 한다. 이번 지방선거 결과는 더 이상 믿음을 줄 수 없으므로 믿음을 수정해야 할 시점에 왔음을 증명한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