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이 지났다. 설날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한 해의 첫날에 흩어진 가족이 함께하는 의미 있는 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명절도 '세뱃돈'과 연관 지으면 마냥 반가울 수만은 없게 된다. 세뱃돈 지출에 대한 부담감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민간업체에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 지출 부담감에 대한 조사를 벌인 결과 76.3%가 부담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한 경제신문의 관련 뉴스를 보면, 설날 지출 경비 중 약 40%가 세뱃돈이 차지한다고 한다. 더욱이, 은퇴 이후 소득 공백기에는 소소한 세뱃돈이라고 하더라도 여간 부담이 아닐 수 없다. 5만 원권 지폐가 등장한 뒤로는 세뱃돈의 '인플레'는 만 원권 지폐가 예전의 천 원권으로 여겨질 만큼 심해진 것이 사실이다.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실시한 제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에 따르면 2인 기준 적정생활비는 월 237만 원이라고 한다. 이는 연간 2844만 원이 필요한 셈으로, 은퇴 후 30년을 계산하면 8억 5320만 원이 필요하게 된다. 반면에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설문조사 전문기관 두잇서베이에서 공동 설문을 시행한 결과 성인남녀 51%가 노후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대의 주요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는 '욜로(Yolo)족', '파이어(Fire)족'이란 신조어로 그들의 생활 형태를 대변한다. '소확행'이란 가치로 지금 순간의 행복감을 위해, 소비하는 생활패턴이 그들의 특징이다. 세상은 급속도로 변해가는데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이 너무나 부족하고, 심지어는 아무런 계획 없이 바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게 작금의 현실이다.

김구태_1.jpg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노후는 준비하는 게 맞는데 어떻게 해야 될지를 막막해 한다. 우선, 앞서 세 가지를 체크해 보자. 나의 소비패턴과 생활패턴을 재정립한 후, 어려운 금융상담은 은행이나 증권사 등의 금융전문가를 찾아가면 된다. 노후준비에 대한 빠른 인식 전환으로, 조기에 안정적인 노후준비로 은퇴 후 손자에게 세뱃돈이라도 편안한 마음으로 줄 수 있는 노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