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구성원이 ‘희망이 없다’고 믿는 사회는 불행한 일이다. 최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저소득층의 교육복지 실태’ 보고서는 우리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대도시 빈민지역의 초·중생 30%가 자신의 미래가 희망적이지 않고,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일수록 ‘노력하면 목표나 희망을 이룰 수 있다’는 데 대해 부정적이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사교육비가 무려 26조원을 넘는다. 서울대학을 입학한 학생 부모의 직업이 기업체 간부·고급공무원 등 관리직이 28%, 의사·교수·법조인 등 전문직이 24.8%로 절반을 넘는다. 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세습되는 현실을 보고 가난한 집 자녀들이 희망을 갖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가구당 빚이 연내 3000만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보도에서 우리사회의 경제현실이 어떤가를 말해주고 있다. 빈부격차의 심각성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교육의 공공성이 시장논리 앞에 무력화되고 무한경쟁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기여입학을 허용하고 외국인 학교를 세워 경제력에 의해 사회적 지위까지 세습되는 현실을 받아들이겠다는 분위기다.
경기 전에 승부가 결정 난 게임은 공정한 게임이 아니다. 정경유착이나 탈세 등 부정한 방법으로 축적한 재산이 세습으로 이어진다면 서민들은 희망을 잃게 될 수밖에 없다. 언제까지 학교가 공정하지 못한 일류대학입학을 위한 경쟁장이 되어야 하는가. 지금은 교육기회 의 확대를 위한 대책이 절실한 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