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핵심기기 공급·추가 건설 불투명 '신재생에너지 확대'필요

국내 독점 원전(핵발전소) 주기기 생산업체인 두산중공업이 일단 한숨을 돌렸다. 신고리 원전(핵발전소)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지난 20일 건설 재개 결정을 권고했고, 당정청 회의에서 이를 수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론화위가 이후 정책 방향은 탈핵이 더 많음도 확인시켜줘 추가 원전 건설에 먹구름이 낄 전망이다. 기존 사업 부문 조정과 신규 사업 확대라는 만만찮은 과제를 떠안은 셈이다.

◇1조 1000억 원대 원전 잔여 매출은 확보 = 두산중공업은 이날 오전 공론화위의 대정부 권고안 발표 직후 "이번 공론화위 결정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건설 재개 등은 발주처와 협의해 절차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삼성물산·한화건설과 함께 컨소시엄을 꾸려 신고리 5·6호기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발전 터빈 등 원전 주기기 공급을 맡고 있다.

당장 3개월간 공사 중단에 따른 피해보상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나주용 두산중공업 부사장은 지난 12일 국정감사에 출석해 "공사 중단 직후부터 지금껏 약 3개월간 400억 원 정도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컨소시엄 3사는 공론화위 결론과 24일 정부 발표 등 최종 결론이 나오면 공사 중단에 따른 피해액을 일괄 청구할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전체 공사비 약 8조 6254억 원인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 2015년 2조 3000억 원 규모의 주기기를 수주했다. 전체 건설 진행률이 약 30%인 상황에서 1조 2000억 원을 받았고, 남은 공급 물량 규모는 1조 1000억 원이다.

◇전체 매출의 약 32% 발전 부문은 어떻게? = 원전은 두산중공업 핵심 사업이다. 두산중의 지난해 매출 13조 8926억 원(연결재무제표 기준) 중 국외 발전 자회사를 합친 발전 사업 부문 매출은 31.52%(5조 2409억 원)였다. 발전 매출 대부분이 원전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핵심 기자재 공급이었다. 전체 영업이익의 34%도 발전 부문에서 발생했고, 발전사업 중에서도 원전 수익성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매출에서 발전 부문 비중은 제법 줄었다. 올 상반기 연결재무제표상 두산중공업 매출은 7조 2625억 원, 발전 부문은 2조 2673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줄었다. 매출 비중으로 봐도 이 기간 발전 몫은 전체의 26.28%에 그쳤다. 올 상반기 전체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4902억 원이나 늘었다.

◇기존 수주 원전 건설 재개, 추가 국내 원전 수주는 불투명 = 두산중공업은 중단된 공사 재개라는 안도와 함께 추가 원전 건설 축소 혹은 백지화라는 불투명한 미래를 함께 떠안았다. 공론화위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는 권고했지만 앞으로 원전을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53.2%)고 발표한 탓이다. 문재인 정부 아래 원전 추가 건설은 없거나 축소할 가능성이 그만큼 커졌다. 이에 따라 원전 발주 공백을 메울 대체재 찾기가 과제로 떠올랐다.

기존 정부 7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앞으로 건설을 계획한 원전은 신한울 3·4호기(1400㎿급), 천지 1·2호기(1400㎿급), 이름을 달지 않은 1500㎿급 2기 등 6기였다. 1400㎿급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급계약액이 2조 3000억 원이었음을 고려하면 두산중공업의 이들 6기 기대 매출은 최소 6조 9000억 원 이상이었다. 이 기대 매출이 실현될지가 미궁 속으로 빠졌다.

이런 지적에 두산중은 우선 발전 부문 매출에서 국외 물량이 연간 60∼70%를 차지했기에 국외 수주를 더 강화해 매출 확대를 하겠다고 내세운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는 앞으로 국외 원전 수주에 강력한 불씨가 될 것이라는 점은 그나마 두산중 처지로서는 불행 중 다행이다.

◇새 먹을거리 공격적인 확대 필요 = 불안한 시장 시선을 없애려면 가스터빈 자체 생산 기술력 확보와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복합화력·열병합) 수주 능력 제고, 풍력발전·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개발·생산 확대 등 새 먹거리 확대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내년 초 발표할 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비중 확대가 확실한 복합화력·열병합발전소 수주를 늘리려는 영업력을 강화하고, 핵심 기자재인 가스터빈 국산화를 계획에 맞춰 차질없이 진행해 영업이익 증가를 꾀할 필요가 있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3257억 원을 추가 투자해 선진국 4개사만 원천 기술을 지닌 가스터빈을 2019년까지 국산화하고자 연구개발 중이다.

원전 축소 우려로 기술력과 공급 능력을 상당 수준 갖추고도 대외적으로 조용히 사업을 확대해온 풍력발전 부문은 앞으로 공격적 수주로 전환할 시점이 됐다. 지난 6월 15일 풍력산업 심포지엄에서 정부가 밝힌 2030년까지 풍력발전 신규 설치 계획은 해상 13GW(1GW=1031.4㎿), 육상 3GW 등 모두 16GW다. 지난 18년간 국내 풍력발전 설비 용량은 1GW였으니 엄청난 규모 확대다. 국내 업체 중 3㎿ 이상 해상풍력 시공과 실증 실적을 모두 갖췄고, 국제 인증을 보유한 회사는 두산중공업이 유일하다. 지난해 국내 신규 풍력발전시스템 공급 점유율 1위(전체 38.8%)를 차지했다.

더불어 두산중공업, 두산엔진 창원공장(본사) 등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 연계 대용량 ESS 사업도 확대를 검토할 만한 분야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