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지구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물은 식수로 사용할 수 없으며 약 2.5%의 물만이 염분이 없다. 그중 3분의 2는 북극과 남극의 빙하에 갇혀 있고 남은 물의 20%는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 있거나, 홍수 등으로 피해를 주는 것이다. 결국,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전 지구 물의 0.08%에 불과하다.

세계물위원회는 2020년 전 세계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지금보다 17%의 물이 더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유엔에서 발표한 물 부족국가에 속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1245㎜로 세계 평균(973㎜ 수준)과 비교할 때 적지 않다. 그럼에도, 물이 모자라는 이상한 나라다. 강수량은 많은데 국토의 70%가 급경사의 산지인 데다 비가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려 바다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올해 극심한 가뭄은 농업과 식량문제에 미칠 파급효과가 매우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자원을 확보하고 식량자급률을 높이는 방법의 하나인 논물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요즘 농촌 들녘에는 모내기를 준비하려고 논에 물대기가 한창이다.

류기형.jpg

우리의 주식인 벼농사는 그 어떤 농작물보다도 물이 중요하다. 100㏊의 논에 10㎝ 깊이로 물을 담는다면 10억t을 저수할 수 있고, 이들 논이 지하수를 보충하는 기능은 연간 160억t 정도로 전 국민이 1년간 사용하는 수돗물 양의 2.7배나 된다. 논의 홍수조절량과 맞먹는 다목적 댐의 건설비용을 계산하면 무려 15조 원이나 되고, 소양강댐 저수량의 8.3배에 달하는 양이다.

물 부족과 그로 인한 식량부족은 사회갈등이나 폭력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는 우리 모두에게 닥칠 수 있는 일이다. 수입쌀 증가로 영농을 포기하고, 대규모 택지개발로 논 면적이 감소되는 이 시점에서 논이 갖는 기능에 대해 새로운 조명과 평가가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